경제/주식2017. 5. 5. 17:05

죽어도 주식투자를 해야하는 4가지 이유

 

통계적으로

개인투자자 95% => 주식투자 (원금손실)

그래도 왜 해야하는가?

 

한국 주식투자자 수 => 2013년 기준 507만명

총 인구수의 10%

경제활동인구의 19%

대한민국 국민의 성인의 5명중 1명은 주식투자를 하고 있다.

 

미국 상위 10%가 부의 62% 차지 양극화 더 심화

2013년 상위 10% 부자 가운데 주식보유자는 무려 93%에 달했다.

 

1) 주식은 투자위험성은 높지만 은행예금과 부동산 임대수익 비해 수익성이 높다.

  예금 : 2%

  부동산 : 5%

  코스피 대형주 삼성전자

  2008년 12월 44만원

  2013년 2월 154만원

  2016년 2월 120만원

 

2) 단파파동 경제시대

   1999년 인터넷 경제

   2012년 스마트 경제

   정보의 유통속도가 경기파동속도

   가장 위험한 투자가 위험한 투자다.

   단파파동 생존전략 => 증시를 보면 경제가 보인다.

 

3) 만성적 저성장 경제와 마이너스 금리시대를 대비해야 한다.

   자전거가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폐달을 밟아야 한다.

   현금보유 위험성 => 유럽/일본/덴마크/스위스 마이너스 금리시대

 

4) 조기퇴직/영구실업/창업불가/수명백세 연금부실화 시대를 대비해야 한다.

  

주식투자 경제적 특징 => 소자본, 무직장, 무노동력

  

경제인에게 주식투자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기타내용

------------

 

개미 주식투자 실패가 미국 소득 양극화 주 원인?

 부자들은 급락할 때 싼값에 산 뒤 고가에 매각해 자산을 더 늘렸지만 정반대의 투자 패턴을 보인 "개미"들은 주식투자에 실패하면서 부의 양극화도 심화됐다는 것이다.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nPwEjP-u_UE

Posted by 자수성가한 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