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_NETWORK_Storage2020. 10. 19. 15:17

강한 자기장을 이용해 하드디스크를 지워 복구가 안되게 만드는 기술을 말한다.

 

강력한 자기장을 이용해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물리적으로 삭제하는 기술로, 사실상 데이터 복구가 불가능한 방법이다. 이는 역사상 세계 3대 수학자 중 한명으로 꼽히는 칼 프리드리히 가우스(Gauss)의 이름에서 유래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드디스크의 파일을 지워도 흔적이 남기 때문에 복구 프로그램을 돌리면 복원이 가능하다. 하지만 디가우징은 디가우저라는 박스형 장치에 하드디스크를 넣어 모든 기록을 영구 삭제시키기 때문에 복구가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처 : terms.naver.com/entry.nhn?docId=5662118&cid=43667&categoryId=43667

'OS_NETWORK_Stor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ftp 전송 쉘 스크립트(shell script)  (1) 2019.01.26
watch 명령어  (0) 2019.01.24
iostat은?  (0) 2016.03.07
[링크] SUN ILOM설명  (0) 2015.07.29
[펌] 좀비 프로세스  (0) 2013.02.17
Posted by 자수성가한 부자
카테고리 없음2020. 8. 20. 07:13

 

1. chrony란?

chrony 는 NTP (Network Time Protocol)을 구현한 Server / Client 로 기존 리눅스의 ntpd를 대체합니다.

RedHat Enterprise Linux 8 부터는 기본 NTP 제품으로 채택됩니다.

장점

 1) 보다 빠르고 정확한 동기화 가능

 2) 주파수 교정의 범위가 넓음

 3) 클럭 주파수에서 빠른 변동에 잘 대응

 4) 초기 동기화 후 클럭 스테핑이 없음

 5) 간헐적인 네트워크 연결에서 잘 동작함.

 

2. chrony 서버 설정

1) chronyd 설치

yum remove ntp          # ntp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다면 삭제해야함.

yum install chrony

 

2) chrony 환경 파일 설정

/etc/chrony.conf

chrony.conf

3) chrony 대몬 재실행

service chronyd enable

service chronyd restart

 

4) 동기화 소스 보기

 

M : 소스의 종류를 의미합니다.

     ^ : 서버, = : 피어, # : 로컬

S : 소스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 : 현재사용중,  - :  사용중인 소스와 결합하지 않음., + : 사용중인 소스와 결합 가능, ? : 연결불능, X : 연결 불가

 

root@datasvc:~]# timedatectl 
      Local time: Tue 2020-10-06 10:45:04 KST 
  Universal time: Tue 2020-10-06 01:45:04 UTC 
        RTC time: Tue 2020-10-06 01:45:04 
       Time zone: Asia/Seoul (KST, +0900) 
     NTP enabled: yes 
NTP synchronized: yes 
 RTC in local TZ: no 
      DST active: n/a

 

참고 : 

https://blog.naver.com/oxcow119/221499348324

 

[Linux] Chrony ( NTP )

1. Chrony 란? : NTP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나온 시간 동기화 프로토콜을 말합니다.​2. Stratum 이란?...

blog.naver.com

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ymne&logNo=221007971952&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Posted by 자수성가한 부자
카테고리 없음2019. 11. 26. 11:35

커널(왕) :

유닉스, 리눅스 운영체제의 핵심 프로그램

하드웨어 및 디바이스와 소통하고, 작업을 스케쥴링하며, 메모리와 저장 장치를 관리한다.

 

쉘(문지기) :

운영체제와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한다.

Posted by 자수성가한 부자
카테고리 없음2019. 10. 20. 13:28

일정

 2019년 12월 20일 (금) ~ 2019년 12월 24일 (수)

 

항공

숙박

 

기본정보

 화폐 : 태국 바트

 시차 : 한국과 2시간 느림

 

가볼만한 곳

 차웽비치

 정글클럽

 왓쁠라이램 사원

 나무앙 폭포 : 코끼리 먹이 주기, 다이빙

 

보고 싶은 것

 

먹고 싶은 것

 카오산 쏨땀

 철판 아이스크림

하고 싶은 것

 코따오, 코낭유안 스노쿨링 투어

 

준비물

경비

항목     합계
항공권(어른 3명, 아이 1명)  

4,082,700원

4,082,700원
숙박      
여행자 보험   31,970원  
       

 

 

Posted by 자수성가한 부자
카테고리 없음2019. 8. 27. 05:53

주택가격 소비자심리지수와 아파트가격 상관관계.xlsx
0.02MB

소비자 심리지수가 급등 후에 아파트의 가격이 따라온다.

Posted by 자수성가한 부자
카테고리 없음2019. 8. 26. 17:24

innodb_buffer_poo_size :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메모리에 캐싱함과 동시에 데이터의 변경을 버퍼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전체 메모리의 50% ~ 80%까지 설정하며 낮은 값부터 조금씩 크기를 올려가며 적절한 값을 찾는 것이 좋다. 정적 변수이기 때문에 설정 적용을 위해서는 MySQL 재시작이 필요하다.

join_buffer_size :

조인이 발생할 때마다 사용되는 버퍼가 아니다. 적절한 조인 조건이 없어서 드리븐 테이블의 검색이 풀 테이블 스캔으로 유도되는 경우 사용된다.

key_buffer_size :

MyISAM의 키 버퍼는 인덱스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버퍼의 크기이다. 인덱스만 캐시하기 때문에 InnoDB의 버퍼 풀 만큼만 할당해서는 안된다. 일반 적으로 전체 메모리의 30%~50% 할당하는 것이 좋다.

read_buffer_size :

MySQL 매뉴얼에서는 풀 테이블스캔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하는 버퍼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많은 스토리지 엔진에서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도 하기 때문에 명확히 정의하기 어렵다.

 

read_rnd_buffer_size :

인덱스를 사용해 정렬할 수 없을 경우 정렬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디스크를 다시 한번 읽지 않도록 버퍼링 한다. 이때 버퍼의 크기를 결정하느 역할을 한다.

sort_buffer_size :

인덱스를 사용할 수 없는 정렬에 메모리 공간을 얼마나 할당할지 결정하는 설정값이다. 이 크기가 너무 작으면 디스크 사용확률이 높아지고 높아지면 클라이언트 쓰레드가 사용하는 메모리의 양이 커져 메모리 낭비가 심해진다. 이 메모리 공간이 크다고 해서 무조건 정렬이 빨리 끝나는 것은 아니다.

tmp_table_size :

메모리에 생성되는 임시 테이블의 최대 크기를 설정한다.

 

query_cache_size, query_cache_limit :

쿼리 캐시에 관련된 캐시의 크기를 설정한다. 쿼리 캐시는 무조건 크게 설정하는 것이 항상 좋은 것은 아니다.

 

key_cache_block_size :

block 크기이며 기본값 1024(단위 byte)이다.

 

myisam_sort_buffer_size :

repair table, alter table , create index에 사용되는 버퍼 메모리 크기이다. 최대 크기는 4GB이다.

 

출처 :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evida&logNo=220365937569&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Posted by 자수성가한 부자
카테고리 없음2019. 8. 26. 15:19

MariaDB [firstdb]> create table test2 (col1 int(11) unsigned not null);
Query OK, 0 rows affected (0.048 sec)

MariaDB [firstdb]> show columns from test2;
+-------+------------------+------+-----+---------+-------+
| Field | Type             | Null | Key | Default | Extra |
+-------+------------------+------+-----+---------+-------+
| col1  | int(11) unsigned | NO   |     | NULL    |       |
+-------+------------------+------+-----+---------+-------+
1 row in set (0.036 sec)

 

테이블 생성시 컬럼 속성에 unsigned를 부여할 수 있다. 이 것은 컬럼의 활용도에 따라 범위를 다르게 주는 것이다.

양수만 존재하는 데이터라고 하면 unsigned를 붙여서 양수의 데이터 범위를 넓힐 수 있다.

unsigned가 붙지 않은 컬럼 : -2147483648 ~2147483647

unsigned가 붙은 컬럼 : 0 ~ 4294967295

 

Posted by 자수성가한 부자
카테고리 없음2019. 8. 26. 15:09
카테고리 없음2019. 8. 26. 15:05

1. 테이블의 컬럼 정보를 보기 위한 명령어

MariaDB > show columns from test;

 

MariaDB > desc test;

 

database 조회

MariaDB [information_schema]> show databases;
+--------------------+
| Database           |
+--------------------+
| firstdb            |
| information_schema |
| mysql              |
| performance_schema |
| test               |
+--------------------+
5 rows in set (0.001 sec)

table 조회

MariaDB [information_schema]> show tables;
+---------------------------------------+
| Tables_in_information_schema          |
+---------------------------------------+
| ALL_PLUGINS                           |
| APPLICABLE_ROLES                      |
| CHARACTER_SETS                        |
| CHECK_CONSTRAINTS                     |
| COLLATIONS                            |
| COLLATION_CHARACTER_SET_APPLICABILITY |
| COLUMNS                               |
| COLUMN_PRIVILEGES                     |
| ENABLED_ROLES                         |
| ENGINES                               |
| EVENTS                                |
| FILES                                 |
| GLOBAL_STATUS                         |
| GLOBAL_VARIABLES                      |
| KEY_CACHES                            |
| KEY_COLUMN_USAGE                      |
| PARAMETERS                            |
| PARTITIONS                            |
| PLUGINS                               |
| PROCESSLIST                           |
| PROFILING                             |
| REFERENTIAL_CONSTRAINTS               |
| ROUTINES                              |
| SCHEMATA                              |
| SCHEMA_PRIVILEGES                     |
| SESSION_STATUS                        |
| SESSION_VARIABLES                     |
| STATISTICS                            |
| SYSTEM_VARIABLES                      |
| TABLES                                |
| TABLESPACES                           |
| TABLE_CONSTRAINTS                     |
| TABLE_PRIVILEGES                      |
| TRIGGERS                              |
| USER_PRIVILEGES                       |
| VIEWS                                 |
| GEOMETRY_COLUMNS                      |
| SPATIAL_REF_SYS                       |
| CLIENT_STATISTICS                     |
| INDEX_STATISTICS                      |
| INNODB_SYS_DATAFILES                  |
| USER_STATISTICS                       |
| INNODB_SYS_TABLESTATS                 |
| INNODB_LOCKS                          |

 

현재 내가 접속해있는 데이터베이스 조회

MariaDB [information_schema]> select database();
+--------------------+
| database()         |
+--------------------+
| information_schema |
+--------------------+
1 row in set (0.001 sec)

 

테이블 존재여부 확인

MariaDB [information_schema]> select 1 from information_schema.schemata where schema_name = 'TEST';
+---+
| 1 |
+---+
| 1 |
+---+
1 row in set (0.010 sec)

Posted by 자수성가한 부자
카테고리 없음2019. 8. 26. 14:05

Maria DB(MySQL), Oracle 데이터 타입 비교

 

출처 : https://docs.oracle.com/cd/E12151_01/doc.150/e12155/oracle_mysql_compared.htm#BABGACIF

Posted by 자수성가한 부자